국토교통부는 3월 31일(목)부터 전국 13개 시·도의 청년 및 신혼부부를 위한
'2022 매입임대주택' 1차 입주자 모집을 시작합니다.
4월부터 접수, 6월 입주 예정
올해 총 2만 1,264가구 공급
1차) 청년형 1,828가구 모집
1차) 신혼부부형 4,616가구 모집
1.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개요
구분 | 청년 | 신혼부부Ⅰ | 신혼부부Ⅱ |
소득기준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
100% 이하 (2순위 본인+부모) (3순위 본인) |
70% 이하 (부부합산 90%) |
1~3순위 100% 이하 (부부합산 120%) |
4순위 120% 이하 (부부합산 140%) |
|||
주택유형 | 오피스텔 등 | 다가구주택 등 | 다가구주택 + 아파트·오피스텔 |
임대료 | 시세 40~50% | 시세 30~40% | 시세 60~80% |
거주기간 | 최대 6년 | 최대 20년 | 최대 6년 (자녀 있는 경우 최대 10년) |
1) 청년 매입임대주택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학업이나 취업 등의 사유로 이주가 잦은 청년층의 상황을 반영하여 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에어컨)을 풀옵션으로 갖추어 공급하며 시세의 40~50% 수준의 저렴한 임대료로 최대 6년까지 거주 가능합니다.
2)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은 결혼 7년 이내의 신혼부부와 예비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Ⅰ타입'에 3,176가구, 만 6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가구 및 일반 혼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Ⅱ타입'은 1,440가구 총 4,616가구가 공급됩니다.
3) 지역별 1차 공급 물량
지역별로는 서울 등 수도권에서는 4,157가구, 지역은 2,287가구를 공급할 예정입니다.
구분 | 합계 | 수도권 | 부산 | 대구 | 광주 | 대전 | 전주 | 강원 | 충북 | 전북 | 경남 | 제주 | |||
소계 | 서울 | 인천 | 경기 | ||||||||||||
호수 | 6,444 | 4,157 | 1,669 | 1,690 | 798 | 490 | 406 | 156 | 272 | 14 | 134 | 159 | 216 | 429 | 11 |
4) 올해 바뀌는 점
관리소 확충, 공동생활 지킴이 도입, 층간소음 분쟁조정 도우미, 집 정리 서비스 제공 등 주거 서비스가 향상될 예정입니다.
2.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입주 자격
1) 청년형
① 신청자격: 무주택자인 미혼 청년(대학생, 취업준비생, 19~39세)
② 입주순위
- 1순위: 생계·주거·의료수급자가구, 한부모가족, 차상위계층 가구
- 2순위: 본인+부모 소득 100% 이하
국민임대 자산기준 충족 (총 자산 32,500만 원, 자동차 3,557만 원 기준)
- 3순위: 본인 소득 100% 이하
행복주택(청년) 자산기준 충족 (총 자산 28,800만 원, 자동차 3,557만 원 기준)
2) 신혼부부Ⅰ
① 신청자격:
- 무주택세대 구성원인 신혼부부
(혼인 7년 이내, 예비 신혼부부,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 가족,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 소득 70%(맞벌이 90%) 이하
- 국민임대 자산기준 충족
② 입주순위
- 1순위: 유자녀(예비) 신혼부부,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 가족
- 2순위: 무자녀(예비) 신혼부부
- 3순위: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③ 자산기준
총 자산 32,500만 원, 자동차 3,557만 원 기준
3) 신혼부부Ⅱ
① 신청자격:
- 무주택세대 구성원인 신혼부부
(혼인 7년 이내, 예비 신혼부부,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 가족,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 소득 100%(맞벌이 120%) 이하
- 행복주택(신혼부부) 자산기준 충족
- (4순위) 무주택세대 구성원인 혼인 부부, 소득 120%(맞벌이 140%) 이하, 신혼희망타운 자산기준 충족
② 입주순위
- 1순위: 유자녀(예비) 신혼부부, 6세 이하 자녀를 둔 한부모 가족
- 2순위: 무자녀(예비) 신혼부부
- 3순위: 6세 이하 자녀를 둔 혼인 가구
- 4순위: 모든 혼인 가구
③ 자산기준
- 1~3순위: 총 자산 32,500만 원, 자동차 3,557만 원 기준
- 4순위: 총자산 34,100만 원
[참고] 2022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100%) 소득
- 1인 가구: 3,854,536원 - 2인 가구: 5,328,807원 - 3인 가구: 6,418,566원
- 4인 가구: 7,200,809원 - 5인 가구: 7,326,072원
3. 사업자별 공급 물량 및 접수 일정
1) 한국토지주택공사 (4,155호)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호수 | 모집공고 | 신청접수 | 결과발표 | 입주일정 |
청년 매입임대 | 79 | 1,348 | 3/31 | 4월 초~ 4월 중순 |
5월 말~ 6월 초 |
6월 말~ |
신혼부부Ⅰ 매입임대 |
78 | 1,967 | 3/31 | 4월 초~ 4월 중순 |
5월 말~ 6월 초 |
6월 말~ |
신혼부부Ⅱ 매입임대 |
60 | 840 | 3/31 | 4월 초~ 4월 중순 |
5월 말~ 6월 초 |
6월 말~ |
- 한국토지주택공사 청약센터 공고문 참고 (https://apply.lh.or.kr/LH/index.html?Sls#MN::CLCC_MN_0010:)
- LH 콜센터 문의: ☎1600-1004
2) 서울주택도시공사 (1,109호)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호수 | 모집공고 | 신청접수 | 결과발표 | 입주일정 |
신혼부부Ⅰ 매입임대 |
17 | 1,109 | 3/31 | 4/12~4/14 | 7/20 | 8월~ |
- 서울주택도시공사 누리집 공고문 참고 (https://www.i-sh.co.kr/main/index.do)
3) 인천도시공사 (1,100호)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호수 | 모집공고 | 신청접수 | 결과발표 | 입주일정 |
청년 매입임대 | 3 | 400 | 2/22 | 3/21~ (수시모집) |
5월 말~ (개별안내) |
6월~ |
신혼부부Ⅰ 매입임대 |
4 | 100 | 2/22 | 3/21~ (수시모집) |
5월 말~ (개별안내) |
6월~ |
신혼부부Ⅱ 매입임대 |
4 | 600 | 2/22 | 3/21~ (수시모집) |
5월 말~ (개별안내) |
6월~ |
- 인천도시공사 누리집 공고문 참고 (https://www.ih.co.kr)
4) 경기주택도시공사 (66호)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호수 | 모집공고 | 신청접수 | 결과발표 | 입주일정 |
청년 매입임대 | 8 | 66 | 4/8 | 4월 초 | 6월~ (개별안내) |
7월~ |
- 경기주택도시공사 누리집 공고문 참고 (http://www.gh.or.kr)
5) 전주시 (14호)
사업유형 | 공급지역 (시·군·구) |
공급호수 | 모집공고 | 신청접수 | 결과발표 | 입주일정 |
청년 매입임대 | 1 | 14 | 4/11 | 4/20~ | 6월~ (개별안내) |
7월~ |
- 전주시 누리집 공고문 참고(http://www.jeonju.go.kr)
2022년 기초연금 및 국민연금 변경사항 알아보기
연금제도는 은퇴·퇴직 후 소득이 없어도 안정적인 노후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금을 지급해주는 것으로 크게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공적연금인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사적연금인 '
makingthehistory.tistory.com
청년 내일채움공제 (300만원으로 1200만원 받기)
청년 내일채움공제는 청년에게 장기근속과 목돈 마련의 기회를 주며, 기업에게는 우수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청년과 기업, 정부가 함께 비용을 적립하여 청년의 초기 경력 형성과
makingthehistory.tistory.com
미취업청년 취업장려금 50만원 신청방법
서울시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졸업 후 2년 이내(2020년~2022년 졸업생) 실업 및 미취업 청년에게 긴급 취업장려금을 지급하여 청년의 생활을 안정시키고 구직 촉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인당 50
makingthehistory.tistory.com
2022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100만원 신청 방법
경기도는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2022 경기도 청년기본소득'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고 신청하셔서 100만 원 지원받으시기 바랍니다.
makingthehistory.tistory.com
청년 행복을 위한 '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 알아보기
오세훈 서울 시장은 3월 23일 '청년행복 프로젝트(2025 서울청년 종합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2030 청년들이 졸업, 취업, 결혼 등 여러가지 변화를 안정적으로 맞이할 수 있도록 월세나 이
makingthehistory.tistory.com
'돈이 되는 필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근로장려금 신청 방법 (0) | 2022.04.29 |
---|---|
수익률 142%! 2022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 신청 방법 (0) | 2022.04.23 |
종합소득세와 절세 방법 알아보기 (0) | 2022.03.28 |
2022년 기초연금 및 국민연금 변경사항 알아보기 (0) | 2022.03.27 |
경기지역화폐 인센티브 7가지 알아보기 (0) | 2022.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