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내일채움공제는 청년에게 장기근속과 목돈 마련의 기회를 주며, 기업에게는 우수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청년과 기업, 정부가 함께 비용을 적립하여 청년의 초기 경력 형성과 미래 설계를 위한 자본을 마련할 수 있게 해주는 제도입니다. 2022년에는 1조 3천억 원 규모로 7만 명을 신규 지원해준다고 하니 자세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 본인 매월 12만 5천 원씩 2년간 적립(총 300만 원)
기업 300만 원(정부지원) + 정부 600만 원(취업지원금)
2년 만기 시 청년에게 총 1,200만 원 + 이자 지급
청년 내일채움공제 지원대상
| 청년 가입 조건
1. 만 15~34세 이하로 중소기업 등에 정규직으로 신규 취업한 청년
(군필자는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 제한 연령을 연동하여 적용하며, 최고 만 39세까지 가능합니다.)
2.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
(단, 3개월 이하의 단기 가입 이력은 총 가입 기간에서 제외합니다.)
(방송, 통신, 방송통신, 사이버(원격대학), 학점은행제, 야간대학, 대학원은 제외합니다.)
3. 학력의 제한은 없으나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등학교 또는 대학 재학이나 휴학 중인 자는 제외 (졸업예정자 가능)
| 기업 가입 조건
1. 청년 내일채움공제 가입(예정) 대상인 청년의 정규직 채용일 기준,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의 중소기업
(소비향락업, 비영리기업 등 일부 업종은 제외합니다.)
(지식서비스산업, 문화콘텐츠산업, 벤처기업 등 일부 1~5인 미만 기업은 참여 가능합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 지원내용
| 청년 지원 내용
청년 본인이 2년간 매월 12만 5천 원씩 총 300만 원을 적립하면, 정부의 취업지원금 총 600만 원과 기업 적립금 300만 원(정부지원)이 공동으로 적립되어 2년 만기 후에 총 1,200만원과 그에 따른 이자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 최소 2년동안 동일 사업장에서 근무해야 실질적 경력 형성의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 만기 후 중소벤처기업부의 내일채움공제(3~5년)로 연장 가입 시 최대 8년의 장기적인 목돈 마련이 가능합니다. |
| 기업 지원 내용
기업 지원은 규모에 따라 적립금액 및 적립·지원 방식이 구분됩니다.
1. 30인 미만 기업:
기업 지원금을 2년간 300만원 지원받아 적립 가능합니다.
(정부지원금은 6·12·18·24개월 등 2년간 4회 기업 가상계좌에 적립됩니다.)
2. 30인~49인 기업:
기업이 기업 기여금(2년간 300만 원)의 20%를 기업부담금으로 매월 2만 5천 원씩 적립하고
80%는 기업지원금을 주기별로 정부에서 지원받아 적립합니다.
(정부지원금은 6·12·18·24개월 등 2년간 4회 기업 가상계좌에 적립됩니다.)
3. 50인~199인 미만 기업:
기업이 기업 기여금(2년간 300만 원)의 50%를 기업부담금으로 매월 6만 2천5백 원씩 적립하고
50% 기업지원금을 주기별로 정부에서 지원받아 적립합니다.
(정부지원금은 6·12·18·24개월 등 2년간 4회 기업 가상계좌에 적립됩니다.)
4. 200인 이상 기업:
기업이 기업 기여금(2년간 300만 원)의 100%를 기업부담금으로 적립합니다. (매월 12만 5천 원 적립)
→ '인재육성형 전용자금' 지원대상으로 편입 등 중소벤처기업부 사업 참여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잦은 이직으로 인해 인력난이 심각한 중소기업은 우수 인력을 고용유지 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
청년 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1. '워크넷 청년공제 홈페이지'에서 먼저 참여 신청을 합니다. (www.work.go.kr/youngtomorrow)
2. 운영기관의 자격 심사에 따른 워크넷 승인이 완료되면,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3. 기업 신청 승인 후 청년의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 신청기한
반드시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청년과 기업 모두 6개월 이내에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 신청을 완료하셔야 합니다. (http://www.sbcplan.or.kr)
(자격 심사에 통상 10 영업일이 소요되므로, 그 점을 감안하여 워크넷 참여 신청을 미리 하시는 게 좋습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 문의 연락처
자세한 사항이나 더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국번 없이) 1350(유료) (3번→8번)으로
전화하시면 됩니다.
팍팍한 현실 속에서 청년들의 자립을 위해 도움이 되어주는 여러 가지 정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 외에도 청년들의 목돈 마련에 큰 보탬이 되는 연 10% 금리 효과를 주는 청년희망적금에 대해서도 알아두시면 종잣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돈이 되는 필수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기관지협착증 (거위 소리의 비밀) (0) | 2022.03.07 |
---|---|
코로나 자가진단 키트 이것만은 알고 사용하자 (0) | 2022.03.07 |
소상공인 방역지원금 300만원 받는 방법 (0) | 2022.03.05 |
실업급여 조건 및 신청방법 (0) | 2022.03.05 |
2022 청년희망적금 자격 및 신청 꿀팁 알아보기 (0) | 2022.03.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