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이 되는 필수 정보

2022 청년희망적금 자격 및 신청 꿀팁 알아보기

by 독립김차장 2022. 3. 1.

연 10%대의 금리 효과를 내는 '청년희망적금'이 2022년 2월 21일부터 11개 은행을 통해 출시되었습니다.

시장금리가 상승하고 불확실한 대외 상황과 주식 시장의 불황 등으로 관심이 폭주하여 신청 첫날에는 은행 앱의 접속 장애까지 발생할 정도였으며, 2월 25일 '출생연도 5부제' 신청 기간 동안 5대 은행에서만 무려 190만 명이 신청했다고 합니다.

 

가입일 기준 만 19세~34세 이하
총 급여 3,600만원(종합소득금액 2,600만원) 이하
연 10%대의 금리 효과
은행 금리 5% + 2년 만기까지 납입하면 저축 장려금 36만원 추가 지원
월 최대 50만원 이하의 자유적립식 적금
이자 소득세 및 농어촌특별세 비과세

 

2022 청년희망적금 신청 자격

정부 예산에서 청년층의 저축 장려금을 지원해 주는 '2022 청년희망적금'의 신청 자격 나이는 가입 일을 기준으로 만 19세에서 34세 이하의 청년층에 해당되며, 병역 이행 기간(최대 6년)은 계산되지 않기 때문에 군 복무가 끝난 군필자 1986년생은 21개월의 혜택 적용을 받아 가입이 가능합니다.

 

소득 기준은 직전 연도의 총 급여가 3,600만원 이하거나, 종합소득 금액 2,600만원 이하면 신청 가능하며

2019, 2020, 2021년 중 이자나 배당소득의 금융 소득이 1회 이상 2,000만원이 넘은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이런 분들은 추후 검증에서 확인될 경우 납입이 중단되므로 꼭 참고해 주세요.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은행의 11개 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1인당 1개의 은행을 선택해서 1계좌만 개설 가능) 모바일 및 온라인의 비대면 가입은 영업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은행 창구를 방문하시는 대면 가입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탄력 점포 등의 경우에는 각 점포 운영시간에 따라 다르므로 사전에 전화 문의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은행에서 지급하는 기본 이자 연 5%에 2년 만기 시 정부에서 지원해 주는 저축 장려금 36만원까지 추가로 받을 수 있으니 자격이 되시는 청년분들은 꼭 신청하시면 좋겠습니다.

각 은행별 제공 금리는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예금상품 금리비교' 공시 사이트(https://portal.kfb.or.kr/compare/receiving_young_2.php)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2 청년희망적금'은 최대 월 50만원까지 자유롭게 적립 가능하며 2년 만기 즉, 24개월 동안 납입하시면 원금 1,200만원에 은행 기본 이자 5%, 그리고 저축 장려금까지 합산하여 최대 12,985,000원까지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 비과세 혜택을 받아 이자 소득세 15.4%도 면제받으실 수 있으나, 중간에 해지하시면 저축 장려금은 받을 수 없기 때문에 2년 동안 힘들더라도 유지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각 은행별로 우대금리도 추가로 제공하고 있으니 아래 표를 참고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은행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대표적인 요점만 정리했기 때문에 적합한 은행을 찾으셨으면 해당 은행 홈페이지나 콜센터로 연락하셔서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5대 은행 '청년희망적금' 우대이율표

 

정부 예산 한도 내에서 진행되는 '2022 청년희망적금'은 가입 수요가 폭발적이므로 오는 3월 4일(금)까지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직 신청하지 않으신 분들께서는 서둘러서 신청하셔서 좋은 정부 혜택을 꼭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더욱 자세한 안내를 원하시는 분들은 '각 은행의 콜센터'나 '서민금융진흥원 서민금융콜센터'(1397)로 전화하셔서 상담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1588-9999)     신한은행 (1577-8000)     하나은행 (1588-1111)    우리은행 (1588-5000)
농협은행 (1661-3000)     기업은행 (1588-2588)     부산은행 (1588-6200)    대구은행 (1566-5050)
광주은행 (1588-3388)     전북은행 (1588-4477)     제주은행 (1588-0079)

 

이 외에도 300만원만 적립하면 총 1,200만원의 만기금을 수령할 수 있는 청년층을 위한 정부 지원금 혜택 제도인

'청년 내일채움공제' 에 대해서도 알아보시고 목돈 마련의 발판을 마련해 보시길 바랍니다.

 

 

 

청년 내일채움공제 (300만원으로 1200만원 받기)

청년 내일채움공제는 청년에게 장기근속과 목돈 마련의 기회를 주며, 기업에게는 우수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청년과 기업, 정부가 함께 비용을 적립하여 청년의 초기 경력 형성과

makingthehistory.tistory.com

 

반응형

댓글